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디자인패턴
- Yes
- 소프트웨어공학
- 데이터분석
- 클라우드컴퓨팅
- 보안
- 네트워크
- springboot
- 자료구조
- 웹개발
- 알고리즘
- 버전관리
- 자바스크립트
- 컴퓨터비전
- 네트워크보안
- 데이터구조
- I'm Sorry
- 프로그래밍언어
- 빅데이터
- 사이버보안
- 인공지능
- 소프트웨어
- 데이터베이스
- 파이썬
- 딥러닝
- 컴퓨터과학
- 머신러닝
- 프로그래밍
- 데이터과학
- 컴퓨터공학
- Today
- Total
목록2025/07 (233)
스택큐힙리스트
also는 스코프 함수(scope function) 중 하나예요.“지금 만든(혹은 불러온) 객체를 그대로 반환하되, 중간에 ‘추가 작업’을 하고 싶을 때” 쓰면 딱 맞습니다.val user = User("철수", 29).also { println("✅ 새 사용자 생성: ${it.name}")}// 여기서 user 는 그대로 User("철수", 29)언제 쓰면 좋은가?객체 생성 직후 검증·로깅|val config = loadConfig().also { check(it.isValid()) } 체이닝 사이에 디버깅 val result = list .map { it * 2 } .also { println("중간 결과: $it") } .filter { it > 10 }apply·let과의 차..
UI 컴포넌트·모듈·마이크로서비스가 서로 직접 호출을 시작하면, 어느 순간 “누가 누구를 부르는지” 알 수 없는 스파게티 의존 그래프가 됩니다.Mediator 패턴은 “중재자”-객체를 사이에 두어 모든 통신을 중앙 집중화합니다. 콜리그(Colleague)들은 중재자에게만 말하고, 중재자가 대신 다른 콜리그에게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결과적으로 각 객체는 서로를 전혀 모른 채 협력할 수 있고, 관계 변경도 중재자만 수정하면 됩니다.언제 쓰면 좋은가?이벤트 버스: 게시자와 구독자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중앙 EventBus(Mediator)를 통해 소통.알림 시스템: 다양한 채널(SMS, 이메일, 앱 푸시)을 하나의 NotificationHub(Mediator)가 조정.상태 머신: 여러 상태 객체가 Transi..
1. Sequence가 List·Set과 다른 진짜 이유Sequence는 데이터를 담지 않고 “필요할 때 만들어” 내보냅니다. filter → map → take 같은 여러 단계도 요소당 한 번씩 흐르기 때문에 중간 컬렉션이 전혀 생기지 않죠. Kotlin 공식 문서가 강조하듯, 이는 eager 컬렉션과 구조적으로 다릅니다.한마디로: 이터레이터를 감춘 파이프라인.2. 파이프라인 안쪽: TransformingSequence · FilteringSequence모든 중간 연산(map / filter 등)은 새 Sequence 구현체를 리턴합니다.map()을 호출하면 TransformingSequence가 생성되어 원본 sequence와 lambda를 보관만 합니다.실제 변환은 내부 Iterator의 next(..
― 모낭 혈류를 깨우는 ‘진짜’ 강자는?탈모 관리의 핵심은 모낭에 얼마나 많은 피와 영양이 흐르느냐입니다. 최근 주목받는 두 토픽, 카페인 샴푸와 2dDR 젤이 바로 ‘혈류 개선’으로 모발을 살린다는 공통점을 내세우죠. 과연 어느 쪽이 더 근거가 탄탄할까요? 최신 논문·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장단점을 정리했습니다.1️⃣ 카페인 샴푸: ‘카페인 + α’의 실전 데이터작동 메커니즘카페인이 PDE 억제 → cAMP↑ 경로를 통해 모낭 세포 대사와 증식을 촉진.남성형 탈모의 주범 DHT 신호를 부분적으로 차단한다는 연구도 있습니다.임상 근거2024년 중국 연구: 카페인+아데노신 샴푸를 77명(18~60세)에게 12주 사용시 모발 밀도 증가·탈모 감소 보고 2025년 체계적 문헌고찰: 9건(총 684명) 인체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