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자료구조
- 소프트웨어
- 컴퓨터비전
- 컴퓨터공학
- 네트워크보안
- 빅데이터
- 인공지능
- 네트워크
- 머신러닝
- 데이터과학
- springboot
- 웹개발
- 데이터분석
- 클라우드컴퓨팅
- 프로그래밍
- 파이썬
- 알고리즘
- Yes
- 데이터구조
- I'm Sorry
- 보안
- 사이버보안
- 자바스크립트
- 소프트웨어공학
- 컴퓨터과학
- 데이터베이스
- 프로그래밍언어
- 디자인패턴
- 딥러닝
- 버전관리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5/07/14 (9)
스택큐힙리스트
자바 스프링 개발 시작하기 - 8일차 IoC·DI와 Bean 생명주기
1. 왜 IoC와 DI인가?IoC(제어의 역전) : 객체 생성과 의존성 관리 책임을 개발자가 아니라 스프링 IoC 컨테이너에게 넘겨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하도록 돕는다.DI(의존성 주입) : 필요한 의존 객체를 컨테이너가 주입한다. 생성자 주입을 기본으로 쓰면 불변·테스트 용이성·순환 참조 방지 효과가 크다.2. Bean 생명주기의 큰 흐름인스턴스화 (new)의존성 주입 (필드·세터·생성자)초기화 콜백 @PostConstruct 혹은 InitializingBean.afterPropertiesSet()사용 (요청 처리)소멸 직전 콜백 @PreDestroy 혹은 DisposableBean.destroy()스프링은 초기화·종료 시점을 자동 감지해 콜백을 실행하므로, DB 커넥션 풀 준비·캐시 비우기처럼 리소스..
개발
2025. 7. 14. 1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