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택큐힙리스트

희토류 vs. AI 칩…미·중 ‘맞교환 딜’ 어디로 갈까? 본문

재테크

희토류 vs. AI 칩…미·중 ‘맞교환 딜’ 어디로 갈까?

스택큐힙리스트 2025. 7. 17. 07:37
반응형

미국이 7 월 15 일 엔비디아 H20 AI 칩 중국 수출을 조건부로 다시 허용하자, 중국은 곧바로 희토류 수출 허가 건수를 늘려 응답했습니다. 반년 넘게 이어진 ‘희토류 봉쇄 ↔ AI 칩 금지’의 팽팽한 줄다리기가 “교차 의존(互依)” 관계를 인정한 스왑 협상 1라운드로 해석됩니다.


1️⃣ 팩트 체크: 누가 무엇을 쥐고 있나

  • 희토류 카드 – 중국
    • 원광 채굴 60 %, 정련 85 %, 영구자석 90 %를 독점.
    • 2025 년 4 월 디스프로슘·테르븀 등 7종 수출 허가제를 도입해 美·日 전기차·방산 라인을 멈춰 세움.
    • 6 월 규제 일부 풀자 수출 물량이 전월 대비 32 % 급증.
  • AI 칩 카드 – 미국
    • 2022 년 고급 GPU 수출 규제 → 2025 년 4 월 H20·AMD MI308 같은 ‘중간 사양’까지 확대.
    • 그러나 중국 희토류 협상 조건으로 7 월 H20·MI308 라이선스 재발급 결정, H100 · H200은 여전히 금지.

2️⃣ 협상 시나리오 3종

  1. ‘콴타-콴타’ 스왑(단계적 완화)
    • 美: 중간급 GPU 수출 물량·모델별 캡(예: TOPS ≤ 400) 설정
    • 中: 희토류 7종 가운데 3종부터 쿼터 확대
    • 리스크: 美 의회·국방부 반발, 中 내수 부족분 우려
  2. ‘관리무역’ 모델(맞춤형 약정)
    • 연 1회 희토류·AI칩 교환표 합의 → 쿼터·가격·인증 기관 모두 사전 정함
    • 과거 美-日 자동차·반도체 협상 방식 차용
    • 효과: 가격 급변 완화·공급 예측 가능성 ↑, 그러나 기업 혁신 속도 ↓
  3. ‘디커플링 가속’ 실패 시나리오
    • 협상 결렬 → 美 IRA·CHIPS Act 보조금 ↑, 中 희토류 전면 금수 카드
    • HBM·코우오스 패키징 등 韓 반도체 소재주 단기 수혜, 글로벌 EV · 풍력 원가 급등 가능

3️⃣ 산업·시장 파장

  • 반도체: 엔비디아 매출의 13 %를 차지하던 中 시장이 복원되며 주가 변동성 확대. 라이선스 한도가 풀리면 150 억 달러 손실분 절반 이상 회복 전망.
  • 전기차·방산·풍력: 희토류 가격이 4~6월에 평균 38 % 뛰었지만, 7월 공급 정상화 기대감에 소폭 조정. 단, 교착 시 다시 급등 가능.
  • 한국 관전 포인트
    • HBM·첨단 패키징: 삼성·SK, 美 칩사 ‘탈대만·탈中’ 리스크 헤지 수주 기회
    • 2차전지·모터 제조사: 디스프로슘·네오디뮴 공급 차질 시 원가 압박, 리사이클·대체자원 기술주 부각

4️⃣  결론

미·중은 서로의 ‘급소’를 정확히 알고 있습니다. 중국이 희토류 밸브를 조이면 미국의 방산·친환경 산업이 흔들리고, 미국이 AI칩 밸브를 죄면 중국의 차세대 플랫폼 전쟁이 느려집니다. 이번 H20-희토류 맞교환“완전 디커플링은 불가능하다”는 현실 인식을 반영한 첫 신호탄일 뿐, 협상 테이블은 계속 움직일 것입니다. 시장은 해빙 ↔ 대치 양극단 사이에서 매번 출렁일 준비를 해야 합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