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컴퓨터과학
- 데이터분석
- 웹개발
- 인공지능
- 프로그래밍언어
- 데이터과학
- 데이터구조
- I'm Sorry
- 소프트웨어
- Yes
- 소프트웨어공학
- 딥러닝
- 디자인패턴
- 데이터베이스
- 프로그래밍
- springboot
- 클라우드컴퓨팅
- 컴퓨터비전
- 버전관리
- 사이버보안
- 자료구조
- 네트워크
- 컴퓨터공학
- 머신러닝
- 알고리즘
- 보안
- 자바스크립트
- 파이썬
- 빅데이터
- 네트워크보안
Archives
- Today
- Total
스택큐힙리스트
엔비디아 H20, 다시 중국행! 美 수출 허가가 던진 5가지 파장 본문
반응형
1. 확인된 사실
- 승인 시점 : 미국 상무부가 2025년 7월 15일(현지) 엔비디아 H20 AI GPU에 대한 대(對)중국 수출 라이선스 재발급 방침을 통보했습니다. 엔비디아는 곧바로 신청 절차에 들어갔고 “정부가 허가를 보장했다”는 공식 입장을 냈습니다.
- 배경 : 지난 4월 15일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안보를 이유로 H20·AMD MI308 등 ‘중간사양 AI 칩’까지 수출을 전면 차단했으나, 희토류·EDA 협상 과정에서 조건부 완화에 합의했습니다.
- 제한 범위 : H20은 이미 성능·대역폭이 H100/H200 대비 조정된 ‘수출용 모델’이라, 최고급 GPU는 여전히 금지 상태입니다. 허가 건수·물량은 건별 라이선스 심사 후 확정됩니다.
2. 현장 반응과 시장 영향
- 주가 급등 : 발표 직후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최고 +5 %(종가 +4 %)까지 치솟았습니다. 연중 누적 수익률도 27 %로 확대.
- 중국 IT 업계 : 바이트댄스·텐센트 등 빅테크가 즉시 구매 신청에 나섰고, “H20 100만 개 확보 시 美·中 AI 격차가 대폭 축소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 엔비디아 실적 : 중국 매출은 작회계연도 기준 170억 달러(전체 13 %). 4월 수출 금지로 예상했던 150억 달러 손실이 상당 부분 복구될 전망입니다.
- 국내 투자 포인트 :
- AI·데이터센터 테마 ETF(미국·대만·한국) 단기 순유입 가능성
- 국내 팹리스·HBM(고대역폭 메모리) 업체 수혜 기대
3. 정책·지정학적 관전포인트
- 희토류 맞교환 : 중국의 희토류 수출 재개 ↔ 미국의 AI 칩 라이선스 허가. ‘맞춤형 완화’가 표준화될지 주목.
- 의회 견제 가능성 : 美 하원 미중특위가 “안보 위험”이라며 추가 청문회를 예고해 불확실성은 여전.
- AMD·인텔 후속 효과 : AMD MI308도 동시 허가 절차 착수, 인텔 ‘Gaudi 3 D-variant’ 역시 신청 대기 중. 중급 AI 칩 시장 재편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 중국 국산화 압박 완화 : 화웨이(Ascend), 바이두(昆仑) 등 토종 AI 칩 개발 속도가 다소 조정될 가능성. 다만 장기적으로는 ‘탈(脫)엔비디아’ 전략 지속 전망.
- 한국 공급망 영향 : 삼성·SK의 HBM과 고성능 패키징(FO-CoWoS) 수요가 동반 확대될 가능성이 크며, 희토류 가격 변동이 전기차·이차전지 원가에도 연쇄 파급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엘 (005850) 주가 전망: 전기차 조명 강자, 숨은 성장주 (2) | 2025.07.17 |
---|---|
희토류 vs. AI 칩…미·중 ‘맞교환 딜’ 어디로 갈까? (0) | 2025.07.17 |
멕시코산 토마토에 17 % 관세…美 피자가게 ‘마진 쇼크’ 현실화 (0) | 2025.07.16 |
한샘 주가 전망 2025: 리모델링 붐에 재도약 할까? (0) | 2025.07.16 |
8인치 파운드리의 숨은 강자, DB하이텍(000990) 투자 포인트 총정리 (5) | 2025.07.1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