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네트워크보안
- Yes
- 웹개발
- 클라우드컴퓨팅
- 파이썬
- 디자인패턴
- 컴퓨터과학
- 보안
- I'm Sorry
- 자바스크립트
- 데이터과학
- 버전관리
- 데이터베이스
- 프로그래밍
- 소프트웨어공학
- 네트워크
- 컴퓨터공학
- springboot
- 딥러닝
- 자료구조
- 소프트웨어
- 컴퓨터비전
- 사이버보안
- 머신러닝
- 데이터분석
- 알고리즘
- 빅데이터
- 프로그래밍언어
- 데이터구조
- 인공지능
- Today
- Total
스택큐힙리스트
주식·코인 같이 추락한 날: 2025년 7월 22일 동반 급락 4대 트리거 본문
7월 22일 오후, 코스피는 장중 2% 가까이 밀리며 3,160선까지 후퇴했고, 암호화폐 시장도 비트코인이 하루 만에 -1 % 내린 117,120달러(₩ 약 1억 6천만 원) 선으로 내려앉았습니다. 이더리움·리플·도지코인 등 주요 알트코인 역시 2~5 %대 낙폭을 기록하며 ‘리스크 자산’ 전반이 흔들렸죠.
1. “Danger Zone”에 근접한 美 국채금리
HSBC는 미 10년물 수익률이 특정 임계치(=Danger Zone)를 넘기면 주식·크립토 모두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진다고 경고했는데, CPI 재상승과 금리 인하 지연 우려가 바로 그 시나리오를 현실화시키고 있습니다. 고금리는 글로벌 캐리 트레이드와 레버리지 포지션을 동시에 위축시켜 위험자산 동반 매도로 이어집니다.
2. ‘관세 데드라인’ 앞둔 아시아 증시 리스크-오프
8월 1일로 다가온 미·EU·일본 관세 협상 마감 시한을 앞두고 외국인이 한국 증시에서 대규모 차익 실현에 나섰습니다. 블룸버그가 전한 대로 아시아 전역에서 관세 불확실성 탓에 투자심리가 급랭했고, 한국 정부 대표단의 워싱턴 협상 일정이 보도되면서 매물 폭탄이 가중됐죠.
3. 규제 변수: SEC·스테이블코인 법안
미 SEC가 블랙록 이더리움 ETF ‘인-카인드’ 승인 결정을 8월 26일로 또다시 미루자 기관 머니 유입 기대가 꺾였습니다. 동시에 ‘지니어스 법안’으로 불리는 달러 고정형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이 의회를 통과해 “중장기 호재 vs 단기 혼란” 논쟁이 격화, 시장 변동성을 키웠습니다.
4. 과열 신호 & 레버리지 청산
비트코인은 지난주 사상 최고치(123,153달러) 돌파 후 Bollinger Band·RSI 모두 ‘과매수’에 진입했고, 일부 고배율 선물 계약이 연속 청산되며 급락을 확대했습니다. 기술적 부담과 단기 차익 실현 물량이 맞물리며 알트코인까지 도미노式 하락이 이어졌습니다.
투자 체크포인트
- 코스피 3,150선(20일선)과 비트코인 110,000달러선이 1차 지지. 이탈 시 추가 하락 경로를 열어둬야 합니다.
- 관세 협상 헤드라인 ↔ 원·달러 환율 ↔ 외국인 수급의 연결고리에 주목.
- SEC의 ETF·스테이블코인 후속 규정은 8~9월 일정이 핵심 변수.
- 변동성 장에서는 분할 매수·엄격한 손절·현금 비중 관리가 최우선입니다. (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입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23일 코스피, 반등은 가능할까? ― 장중 흐름·핵심 변수 총정리 (1) | 2025.07.23 |
---|---|
코스피·코인 급락 vs 美 증시 ‘사상 최고’ — 같은 날, 왜 서로 다른 길을 걸었나? (1) | 2025.07.22 |
코스피 3,200선 붕괴! 이번 급락, ‘위기’일까 ‘기회’일까? (0) | 2025.07.22 |
CBDC란 무엇인가? (1) | 2025.07.22 |
바터에서 금까지: 화폐가 탄생한 이유와 오늘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 (1) | 2025.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