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인공지능
- springboot
- Yes
- 디자인패턴
- 소프트웨어공학
- 보안
- 딥러닝
- 컴퓨터과학
- 프로그래밍
- 데이터분석
- 자바스크립트
- 네트워크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클라우드컴퓨팅
- 프로그래밍언어
- 컴퓨터공학
- 데이터구조
- 빅데이터
- 데이터베이스
- 머신러닝
- I'm Sorry
- 컴퓨터비전
- 소프트웨어
- 네트워크보안
- 파이썬
- 사이버보안
- 웹개발
- 버전관리
- 데이터과학
Archives
- Today
- Total
스택큐힙리스트
2025 하반기 FAANG 전망 총정리 — “AI·광고·구독, 세 개의 엔진이 돈다” 본문
반응형
“빅테크는 끝났다”는 말이 매년 나오지만, Meta·Apple·Amazon·Netflix·Google(Alphabet) 다섯 기업의 핵심 지표와 로드맵은 여전히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2025년 하반기, FAANG을 움직일 세 가지 키워드는 AI 플랫폼화, 광고·구독 수익 다각화, 규제 리스크 관리입니다.
1. Meta (Facebook) ― “메타 AI, 페이스북·인스타·왓츠앱에 내장”
- 실적 모멘텀: Q2 EPS 컨센서스 6.2 %↑ YoY, 연간 EPS 25.35 달러 전망
- 주가: 7 월 9 일 종가 727.24 달러, 시총 1.83 조 달러
- 핵심 드라이버
- ‘Meta AI’ 챗봇을 전 제품군에 기본 탑재 → 체류 시간·광고 CPM 상승 기대
- Ray-Ban 스마트글래스 2세대, 11월 글로벌 출시 예고
- 리스크: 美·EU 모두 ‘타깃 광고’ 규제 강화 움직임
2. Apple ― “Apple Intelligence로 생태계 락인 재시동”
- 제품 로드맵: iPhone 17, Vision Pro 2, 실리콘 M5-Ultra 등 15종 이상 하반기 라인업
- 소프트·서비스: WWDC25에서 발표한 ‘Apple Intelligence’—온-디바이스 대규모 언어 모델로 Siri·메시지 전면 개편
- 관전 포인트
- 서비스 매출 비중 28 % 돌파 예상, ARPU 확대
- 리스크: EU DMA·미국 반독점법 통과 시 App Store 수수료 압박
3. Amazon ― “AWS + 광고 날개, 목표가 잇단 상향”
- 애널리스트 시각: Morgan Stanley 300 달러, J.P. Morgan 255 달러로 목표가 상향
- Q2 기대치: 매출 1,611억 달러·EPS 1.36 달러 컨센서스, 7 월 31 일 발표 예정
- 핵심 변수
- AWS 성장률 17 % → GenAI 서비스 ‘Q’ 상용화로 20 %대 회복 시그널
- ‘Buy with Prime’ 외부 쇼핑몰 확대·광고 매출 고성장
- 리스크: 관세·노동조합 변수, 크로스보더 물류 비용
4. Netflix ― “광고·공유금지 효과, 가입자 YoY 두 자릿수”
- Q2 가이던스: 매출 110억 달러(+15 %), EPS 7.06 달러(+45 %) 예상
- 성장 엔진
- 광고 요금제(ARPU ↑) + 계정 공유 금지(순증 가입자↑)
- 라이브 스포츠·K-콘텐츠 투자 확대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 리스크: 콘텐츠 비용 증가, 디즈니·맥스의 번들 공세
5. Alphabet (Google) ― “Gemini 2.5 → 3.0 로드맵, AI 총력전”
- 제품 업데이트: Gemini 2.5 대규모 배포, 초거대모델 API 요금 15 % 인하로 개발자 생태계 락인
- 광고·클라우드
- YouTube Shorts 광고 클릭률 40 % 개선, CTV 매출 가속
- Google Cloud 1분기 28 % 성장 → AI 워크로드 유입
- 리스크: 미司法부 검색 독점 소송 9월 최종 판결 예정
🔍 종합 진단
“FAANG의 2025 하반기 승부수는 ‘GenAI 통합’과 ‘광고·클라우드·구독의 삼각축’입니다.”
- 메타·구글은 AI 모델과 광고 기술을 끈끈하게 결합해 CPM을 끌어올리고,
- 애플은 기기 판매 둔화를 ‘Apple Intelligence’ 기반 서비스로 만회하려 하며,
- 아마존은 AWS와 광고로 이익률 회복을 노리고,
- 넷플릭스는 광고+스포츠로 구독 성장세를 지키고 있습니다.
규제·환율·콘텐츠 비용 같은 변수는 남아 있지만, 다섯 기업 모두 현금흐름·플랫폼 파워·AI 레버리지를 앞세워 빅테크 프리미엄을 유지할 공산이 큽니다. 변동성 장세 속 ‘업사이드’는 AI 수익 실현 속도, ‘다운사이드’는 규제 타격 속도에 달려있다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일선이 준 수익률 힌트, 파이썬 자동 신호로 바로 잡자! (3) | 2025.07.12 |
---|---|
FAANG 눌림목, 언제 담을까? 딱 3가지 차트 신호만 기억하세요 (2) | 2025.07.12 |
RE100로 관세 폭탄 피하는 법 — 국내 제조업 현실 점검 (3) | 2025.07.11 |
새벽을 깨운 비트코인 신고가…다음 목표는 1억 6천 만원대? (2) | 2025.07.11 |
OpenAI는 어떤 회사? 그리고 'AI 브라우저' 출시가 의미하는 변화 (0) | 2025.07.1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