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택큐힙리스트

RE100로 관세 폭탄 피하는 법 — 국내 제조업 현실 점검 본문

재테크

RE100로 관세 폭탄 피하는 법 — 국내 제조업 현실 점검

스택큐힙리스트 2025. 7. 11. 13:38
반응형

“국내 수출기업 10곳 중 9곳이 ‘美 관세 15 %+’는 감당 못 한다.”
한국경제인협회가 150개 수출기업을 조사한 결과, **92 %**가 15 % 이상 관세가 오르면 수익 구조가 무너진다고 답했습니다. 이데일리

미국·EU가 앞다퉈 ‘탄소 가격’을 통관에 반영하면서, 관세 리스크는 앞으로 더 커질 전망입니다. 탄소 비용을 줄이는 가장 직관적인 해법이 바로 RE100(기업 전력의 100 %를 재생에너지로 전환)입니다.


1️⃣ RE100, 왜 지금 서둘러야 하나?

  • 탄소관세 방어막: 재생전력 전환 → 제품당 탄소지수 하락 → CBAM·IRA 등 탄소관세 절감.
  • 브랜드·조달 경쟁력: 글로벌 완성차·IT 기업 다수가 “납품사 RE100 로드맵 의무 제출”을 요구.
  • 투자·금융 우대: 녹색채권·ESG 대출 금리가 평균 0.7 %p 낮습니다.

2️⃣ 국내 제조업의 ‘RE100 현실 체크’

  • 회원사 숫자는 늘었지만… 전 세계 RE100 기업 442곳 중 한국계는 30여 개에 불과. 전체 참여(한국 소재 외국계까지 합산)는 180여 개지만 대부분은 녹색요금·REC 구매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 재생전력 접근성 최하위: 한국 회원사의 평균 재생에너지 사용률은 12 %—아시아 주요국 중 최저. PPA 비중은 1 %에 그쳐 ‘직접 증설’이 사실상 막혀 있다는 지적입니다.
  • 공급망 압박 가속: 반도체·배터리 업계는 2028년까지 100 % 재생전력 조달 계획을 확정(삼성전자·SK하이닉스·LGES 등), 1 차·2 차 벤더에도 탄소 데이터 제출을 요구 중.

3️⃣ RE100 달성 4가지 실전 루트

  1. 녹색프리미엄(Green Premium) – 한전 녹색요금제 구매로 ‘RE100 시작’에 적합.
  2. REC(공급인증서) 구매 – 전력 사용량이 일정치 이상이면 혼합 전략으로 비용 절감.
  3. PPA(전력구매계약) – 장기 고정단가·탄소추적성 확보, 다만 인허가·망사용료 장벽 주의.
  4. 자가발전·공유발전소 투자 – 공장 지붕·유휴부지 태양광 + ESS, CAPEX 회수 6~8 년 수준.

4️⃣ 비용 계산: 관세 vs. 재생전력

  • 가정: 철강 제품 1톤, 탄소배출 1.8 tCO₂, 美 관세 25 % 부과 시 → 톤당 230 달러 추가 부담.
  • 대안: PPA로 재생전력 전환(㎾h당 175원 기준) 시 톤당 추가 전력비 약 90 달러.
    👉 RE100 전환이 관세 폭탄보다 60 % 이상 저렴—장기 계약이면 차액은 더 커집니다.

5️⃣ 정부·지자체 지원 한눈에

  • RE100 산업단지 20곳: 부지·송전 특례, 인허가 패스트트랙, 투자 최대 1조 원.
  • K-RE100 클럽: 중소·중견 전용 컨설팅·금융 패키지(설비 투자비 최대 90 % 보조).
  • PPA 규제 완화: 2026년부터 제조업도 재생전력 직접 PPA 허용(망사용료 투명화 예정).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