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자바스크립트
- 데이터과학
- 데이터분석
- 클라우드컴퓨팅
- 머신러닝
- 데이터구조
- 컴퓨터공학
- 빅데이터
- 버전관리
- 컴퓨터비전
- 웹개발
- 컴퓨터과학
- 파이썬
- 자료구조
- 소프트웨어공학
- 프로그래밍언어
- 프로그래밍
- I'm Sorry
- 디자인패턴
- 네트워크보안
- 네트워크
- 인공지능
- 사이버보안
- 보안
- Yes
- 알고리즘
- 데이터베이스
- springboot
- 소프트웨어
- 딥러닝
Archives
- Today
- Total
스택큐힙리스트
이번주 원·달러 환율 전망 (2025.08.11–08.15) 본문
반응형
CPI 이벤트 주, 1,380~1,400 박스권에서 방향성 모색. 엔저·중국지표·연준 기대가 동시에 당깁니다.
지금 어디 있나
- 8월 11일(월) 오전 기준 원/달러는 1,388원대에서 시작했습니다(Reuters 실시간 호가 기준).
- 지난주 범위: 고점 1,391.27원(8/5), 저점 1,378.92원(8/7), 금요일 종가 1,384.97원으로 마감—전형적인 박스권 흐름이었습니다.
이번주 체크포인트 (이벤트 드리븐)
- 미국 7월 CPI(소비자물가)
- 현지 8/12(화) 8:30am ET → 한국 8/12(화) 21:30 발표. 시장 컨센서스는 전년비 2.8% 근처. 수치가 높게 나오면 달러 강세(원화 약세) 압력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미국 PPI(생산자물가) & 소비심리
- CPI 다음 날/같은 주에 이어지는 물가·심리지표가 9월 연준 결정 기대를 재조정할 변수. 최근 “약한 고용 vs. 관세발 물가”의 줄다리기가 핵심 내러티브입니다.
- 한국 사이드(보유재료/정책)
- BOK(한국은행) 8월 회의는 8/27~28 예정, 7월에는 동결(2.50%)을 유지했습니다. 금리 갭이 큰 변화가 없으면 대외 변수(달러·중국·엔) 민감도가 더 큽니다.
- 중국·글로벌 리스크
- 이번 주 중국 활동지표도 포커스. 리스크오프가 세지면 원화는 단기 약세로 기울기 쉽습니다.
수급·모멘텀 브리핑
- 원화의 연중 체력: 2025년 들어 원화가 달러 대비 약 7% 강세를 보이며 아시아 통화 중 상위권에 올라 있던 흐름이 수급을 받쳐왔습니다(최근 1~2주간은 숨 고르기).
- 정서(센티먼트): 주식·크레딧 위험선호가 유지되는 한 원화의 급락 가능성은 제한적. 다만 CPI 서프라이즈가 나오면 1,395~1,400 테스트가 빠르게 전개될 수 있습니다.
기술적 포인트
- 레인지: 지난주 박스 1,379~1,391 재확인 → 이번주도 1,380~1,400을 1차 무대로 가정.
- 지지/저항: 1,382~1,384(단기 지지) / 1,395~1,400(심리·옵션 저항).
- 트리거: CPI가 컨센 상회 → 1,395 상단 돌파 시도 가능. 하회 → 1,380 초반 재확인 시나리오.
시나리오(확률은 대략적 가이드)
- 베이스(50%): CPI 대체로 컨센 근처 → 1,383~1,395 박스권 등락.
- 강달러(30%): CPI 상회 또는 지정학 리스크 부각 → 1,398~1,405 스파이크 후 되돌림.
- 원화강세(20%): CPI 하회+중국지표 개선 → 1,375~1,382 하단 탐색.
실무 팁 (기업·개인)
- 수입기업: 이번주 결제 비중이 크다면 1,385 전후 분할 매수 + CPI 직전 일부 헤지 비중 확대.
- 수출기업: 1,395 근처 시 레벨성 헤지 고려. 이벤트 이후 되돌림 대비 탄력적 비중조절 권장.
- 개인 투자/환전: 이벤트 후 첫 반응은 과민할 수 있어 발표 12~24시간 뒤 레벨 체크가 유리.
결론
이번주는 ‘CPI가 모든 것을 결정’하는 구도.
기본값은 1,380~1,400 박스권, 숫자가 센 쪽으로 치우치면 상단 돌파/하단 이탈이 단기에 나올 수 있어요. 이벤트 전후로 분할·분산·짧은 만기 헤지가 유효합니다.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세실업, 니어쇼어링으로 다시 달리다 (2) | 2025.08.09 |
---|---|
돈은 ‘얼마나’가 아니라 ‘어떻게’ 늘어나는가 — 《미스터리 오브 뱅킹》 4장 읽고 (3) | 2025.08.08 |
한국카본 분석: LNG 보냉재 톱티어, 아직 덜 알려진 KOSPI 수혜주 (4) | 2025.08.08 |
2025 친환경차 관세·보조금 지도: 북미·EU·중국 한눈에 보기 (4) | 2025.07.30 |
심텍 주가 전망: AI PCB로 도약할 ‘숨은’ 코스피 강자 (4) | 2025.07.3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