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택큐힙리스트

원·달러 1,380원 돌파, 이번주 전망 본문

재테크

원·달러 1,380원 돌파, 이번주 전망

스택큐힙리스트 2025. 7. 14. 18:26
반응형

1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381.2원으로 마감하며 1,380원을 다시 상향 돌파했습니다. 하루 새 5.8원 오른 수치로, 지난주 저점(1,366원) 대비 15원 넘게 뛰었습니다.


1. 금리 차가 만든 ‘달러 프리미엄’

  • 한국은행 동결
    7월 10일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2.50%로 유지했습니다. 소비 부진·가계부채를 의식한 ‘속도 조절’이죠. 
  • 미 연준의 ‘장기 고금리’ 시사
    올 들어 네 번 연속 동결(4.25~4.50%)이지만, 연준 내부 보고서는 “중립금리 3%‧제로금리 복귀 가능성 공존”이라며 긴 호흡의 신중론을 강조했습니다.

→ 한·미 정책금리 차(최대 200bp)가 유지되면서 달러 보유 유인이 여전히 큽니다.


2. 대(對)美 관세 리스크와 수출 흐름

  • 7월 초 발표된 관세 강화 가능성은 한국 수출 심리에 찬물을 끼얹었고, 이날 환율 상승의 직접적 촉매로 작용했습니다.
  • 다만 6월 수출은 반도체 호조로 전년 대비 8.3% 반등했습니다. ‘제조업 체력’이 완전히 꺾인 상황은 아니라는 신호입니다.

3. 이번주 체크포인트

날짜 (KST) 이벤트 영향 포인트
7월 15일 21:30 미국 6월 CPI 발표  물가가 예상(전년비 2.4%)보다 낮으면 달러 약세·원화 반등 가능
7월 17일 자정쯤 미국 6월 PPI 생산자 물가가 CPI 흐름을 확인
7월 18일 美 주요 은행 실적 위험선호 회복 여부 판가름
 

(※ 한국시간 기준)


4. 기술적 레벨

  • 단기 상단: 1,385원대―지난주 고점 
  • 심리적 저항: 1,400원—작년 10월 기재부가 “뉴노멀” 언급한 지점 
  • 지지선: 1,365원―7월 주간 저점

5. 이번주 시나리오

  1. CPI 둔화 + 위험선호 회복
    • 1,370원대 중반까지 되돌림
    • 수출주·여행주 단기 반등
  2. CPI 서프라이즈(높음) + 관세 불확실성 지속
    • 1,390원 테스트, 1,400원 재진입 가능성
    • 외국인 주식‧채권 순매도 확대 우려

결론

금리 차가 굳건한 가운데, 이번주 환율 방향은 결국 미국 인플레이션 지표관세 뉴스플로우에 달려 있습니다. 기본 시나리오는 1,365‒1,390원 박스권이지만, CPI·PPI가 시장 예상을 웃돌면 1,400원선이 열릴 수 있으니 단기 트레이딩 시 ‘헤드라인 리스크’ 관리가 필수입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