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택큐힙리스트

트럼프 25% 관세, 개발자에게 기회일까 위기일까? 본문

재테크

트럼프 25% 관세, 개발자에게 기회일까 위기일까?

스택큐힙리스트 2025. 7. 9. 15:26
반응형

1. 무슨 일이 벌어졌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한국산 모든 수입품에 일괄 25% 관세를 예고했습니다. 일본과 함께 ‘동맹국’이 타깃이 된 첫 사례로, 트럼프는 “무역적자와 비관세 장벽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라고 주장했죠. 2025년 현재 미국 평균 관세율은 15%를 넘어서며 사실상 글로벌 무역 전면전에 가깝다는 평가입니다. 


2. 1차 충격: 개발자 수요, 하드웨어·현장 중심 업종부터 ‘급제동’

  • 자동차·가전·부품사: 대미 수출 비중이 큰 대기업들이 긴축 모드로 전환하면, 사내 SW 개발 조직의 외주·계약직부터 감축될 가능성이 큽니다.
  • 산업용 SW 벤더: 설비 자동화·MES를 공급해 온 중견 SI업체도 신규 프로젝트가 연기될 수 있습니다.
  • 프리랜서·컨트랙터: 미국 고객을 직접 상대하는 개발자는 계약 재협상을 요구받거나 수수료 인상을 흡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즉, 실물 제조와 밀접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영역이 단기 직격탄을 맞을 전망입니다.


3. 반전 포인트: 디지털 전환·리쇼어링 가속

관세는 제조업을 얼어붙게 하지만, 동시에 ‘비용 절감’과 ‘생산성 증대’를 위한 디지털화를 앞당깁니다.

  1. 공급망 시뮬레이션·AI 수요 폭증
    • 관세를 회피하려면 복잡한 다국적 공급망을 재설계해야 합니다. 시나리오 분석용 데이터·AI 플랫폼 개발자 수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2. 국내·제3국 생산 이전
    • ‘리쇼어링’(국내 복귀)과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에 맞춰 스마트팩토리·물류 자동화 프로젝트가 확대될 가능성.
  3. 달러 강세 → 인력 아웃소싱 기회
    • 관세 여파로 원화가 약세를 보이면, 해외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한국 개발자 비용 경쟁력이 높아집니다. 원격 B2B SaaS·앱 개발 수주는 오히려 확대될 수 있습니다.

4. 구체적 채용 트렌드

최근 국내 채용통계에 따르면 AI·반도체·데이터 분야 채용 공고는 전년 대비 12% 증가했지만, 클라우드·IoT는 감소세입니다. 질적 채용(소수 정예)을 강조하는 흐름도 뚜렷해졌죠.


5. 개발자가 지금 준비해야 할 4가지

  1. 무역·관세 Tech 이해
    • HS코드, CBAM, 원산지 판정 로직 등 ‘Trade Tech’ 영역을 공부하세요.
  2. AI·데이터옵스 스킬
    • 공급망 예측, 비용 시뮬레이션을 위한 파이썬, ML 모델링, MLOps 경험은 몸값을 올리는 보험입니다.
  3. 멀티 클라우드·보안
    • 미국 리전을 우회해 다른 리전을 활용하려는 기업이 늘어납니다. 멀티 리전 무중단 설계, 데이터 레지던시 대응이 강력한 차별점이 됩니다.
  4. 영어+동남아 언어 포트폴리오
    • 미국 대신 동남아·인도·중동 시장을 공략하는 한국 IT기업이 급증할 전망. 현지화 경험과 언어가 곧 기회입니다.

6. 전망 한줄 정리

관세는 제조 기반 개발자 수요를 일시적으로 위축시키지만, ‘공급망·AI·글로벌 SaaS’ 영역을 폭발적으로 키우는 촉매가 될 것이다. 시장이 얼어붙기 전에 역량 포트폴리오를 디지털·글로벌로 재편하는 것이 생존의 열쇠입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