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소프트웨어
- 프로그래밍
- 컴퓨터비전
- 데이터구조
- 데이터분석
- 자바스크립트
- 컴퓨터공학
- 사이버보안
- 컴퓨터과학
- 프로그래밍언어
- 딥러닝
- Yes
- 네트워크
- 파이썬
- 알고리즘
- 보안
- springboot
- 데이터과학
- 데이터베이스
- 자료구조
- 클라우드컴퓨팅
- 네트워크보안
- 머신러닝
- 웹개발
- I'm Sorry
- 소프트웨어공학
- 인공지능
- 디자인패턴
- 버전관리
- 빅데이터
Archives
- Today
- Total
스택큐힙리스트
트럼프 25% 관세, 개발자에게 기회일까 위기일까? 본문
반응형
1. 무슨 일이 벌어졌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한국산 모든 수입품에 일괄 25% 관세를 예고했습니다. 일본과 함께 ‘동맹국’이 타깃이 된 첫 사례로, 트럼프는 “무역적자와 비관세 장벽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라고 주장했죠. 2025년 현재 미국 평균 관세율은 15%를 넘어서며 사실상 글로벌 무역 전면전에 가깝다는 평가입니다.
2. 1차 충격: 개발자 수요, 하드웨어·현장 중심 업종부터 ‘급제동’
- 자동차·가전·부품사: 대미 수출 비중이 큰 대기업들이 긴축 모드로 전환하면, 사내 SW 개발 조직의 외주·계약직부터 감축될 가능성이 큽니다.
- 산업용 SW 벤더: 설비 자동화·MES를 공급해 온 중견 SI업체도 신규 프로젝트가 연기될 수 있습니다.
- 프리랜서·컨트랙터: 미국 고객을 직접 상대하는 개발자는 계약 재협상을 요구받거나 수수료 인상을 흡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즉, 실물 제조와 밀접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영역이 단기 직격탄을 맞을 전망입니다.
3. 반전 포인트: 디지털 전환·리쇼어링 가속
관세는 제조업을 얼어붙게 하지만, 동시에 ‘비용 절감’과 ‘생산성 증대’를 위한 디지털화를 앞당깁니다.
- 공급망 시뮬레이션·AI 수요 폭증
- 관세를 회피하려면 복잡한 다국적 공급망을 재설계해야 합니다. 시나리오 분석용 데이터·AI 플랫폼 개발자 수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 국내·제3국 생산 이전
- ‘리쇼어링’(국내 복귀)과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에 맞춰 스마트팩토리·물류 자동화 프로젝트가 확대될 가능성.
- 달러 강세 → 인력 아웃소싱 기회
- 관세 여파로 원화가 약세를 보이면, 해외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한국 개발자 비용 경쟁력이 높아집니다. 원격 B2B SaaS·앱 개발 수주는 오히려 확대될 수 있습니다.
4. 구체적 채용 트렌드
최근 국내 채용통계에 따르면 AI·반도체·데이터 분야 채용 공고는 전년 대비 12% 증가했지만, 클라우드·IoT는 감소세입니다. 질적 채용(소수 정예)을 강조하는 흐름도 뚜렷해졌죠.
5. 개발자가 지금 준비해야 할 4가지
- 무역·관세 Tech 이해
- HS코드, CBAM, 원산지 판정 로직 등 ‘Trade Tech’ 영역을 공부하세요.
- AI·데이터옵스 스킬
- 공급망 예측, 비용 시뮬레이션을 위한 파이썬, ML 모델링, MLOps 경험은 몸값을 올리는 보험입니다.
- 멀티 클라우드·보안
- 미국 리전을 우회해 다른 리전을 활용하려는 기업이 늘어납니다. 멀티 리전 무중단 설계, 데이터 레지던시 대응이 강력한 차별점이 됩니다.
- 영어+동남아 언어 포트폴리오
- 미국 대신 동남아·인도·중동 시장을 공략하는 한국 IT기업이 급증할 전망. 현지화 경험과 언어가 곧 기회입니다.
6. 전망 한줄 정리
관세는 제조 기반 개발자 수요를 일시적으로 위축시키지만, ‘공급망·AI·글로벌 SaaS’ 영역을 폭발적으로 키우는 촉매가 될 것이다. 시장이 얼어붙기 전에 역량 포트폴리오를 디지털·글로벌로 재편하는 것이 생존의 열쇠입니다.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AI는 어떤 회사? 그리고 'AI 브라우저' 출시가 의미하는 변화 (0) | 2025.07.10 |
---|---|
2025 제약주 빅4 전망: 현재 주가 & 투자 포인트 (1) | 2025.07.10 |
AI GPU 삼국지: 엔비디아·AMD·퀄컴, 2025 승부수는? (0) | 2025.07.09 |
삼성전자 vs SK하이닉스: 2025 하반기 반도체 투자 포인트 (1) | 2025.07.09 |
EU 탄소국경조정제(CBAM) 2026 전면 시행, 한국 기업에게 남은 18개월 (1) | 2025.07.0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