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빅데이터
- 컴퓨터과학
- 네트워크보안
- 자료구조
- 데이터과학
- 파이썬
- I'm Sorry
- 프로그래밍
- 보안
- springboot
- 네트워크
- 소프트웨어공학
- 인공지능
- 데이터베이스
- 디자인패턴
- 데이터분석
- 소프트웨어
- Yes
- 버전관리
- 자바스크립트
- 컴퓨터공학
- 사이버보안
- 웹개발
- 머신러닝
- 클라우드컴퓨팅
- 컴퓨터비전
- 알고리즘
- 데이터구조
- 딥러닝
- 프로그래밍언어
Archives
- Today
- Total
스택큐힙리스트
트럼프 “韓 제품 25% 관세” 서한, 사실일까? 본문
반응형
한눈에 요약
- 7월 7일(현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일본산 모든 수입품에 25 % ‘통합 관세’를 8월 1일부로 적용하겠다는 서한을 SNS(Truth Social)에 게시했습니다.
- 백악관은 “7월 9일까지 협상이 안 되면 예정대로 시행”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 시장은 즉각 반응—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가 1,380원대 후반까지 치솟았고, S&P 500도 장중 낙폭을 키웠습니다.
1 | 팩트체크: ‘관세 서한’의 핵심 내용
- 관세율 : 8월 1일부터 한국산 전 품목 25 %
- 면제 조건 : “미국 내 직접 생산·투자 시 관세 0 %, 인·허가 신속 승인”
- 상호 인상 조항 : 한국이 보복 관세를 올리면 그 폭만큼 25 %에 가산
- 근거 : 무역적자 시정·국가안보(IEEPA)
결론 : ‘가짜 뉴스’가 아닌 대통령 명의 공식 서한이며, 법적 근거(국제긴급경제권법·IEEPA)까지 제시된 상태입니다.
2 | 경제 파급, 어디까지 번질까?
① 무역·성장
- 자동차·철강·반도체 수출 타격 → 한국은행은 전체 수출 -0.6 %p, 對美 자동차 -4 %를 시뮬레이션했습니다.
- 5월 발표된 한은 전망치는 이미 2025년 성장률을 1.5 → 0.8 %로 대폭 하향했는데, 관세가 현실화되면 추가 하향이 불가피합니다.
② 환율·금융시장
- 발표 직후 “위험회피 달러 매수”가 강해지며 원/달러 1,380원대 돌파. 증시도 반도체·자동차주 중심으로 약세.
- 관세 발효 시나리오별 레인지(3개월)
- 협상 타결 : 1,350원대로 복귀
- 부분 발효 : 1,370 – 1,400원 박스권
- 전면 발효 : 1,400원 중·후반까지 열려 있음
③ 고용·산업 현장
- 對美 의존도가 높은 완성차·1·2차 협력사가 먼저 압박—정부는 이미 “자동차 긴급 지원 패키지”를 발표했습니다
- 한은·노동계 공동 추정치: 관세 전면 발효 시 제조업 취업자 순감 최대 5만 명 가능성. (정부 브리핑 인용)
④ 물가·소비
- 원화 약세 →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 → CPI 3 % 근접 위험.
- 수출 감소·소득 위축이 겹치면 내수는 냉각… “스태그플레이션” 경고음.
3 | 앞으로 3주—주요 관전 포인트
- 7 월 9 일 협상 데드라인
- 한국 정부 카드: △부분 품목 양보 △미국 내 추가 투자계획 가속 △WTO·FTA 절차 병행
- 달러/원 1,400원 방어선—한은의 시장 안정 대책(스왑 한도 확대 등)
- 업종별 대응: 자동차·철강의 ‘미국 현지화’, 반도체·배터리의 IRA·CHIPS 법 인센티브 활용 여부
4 | 기업·개인별 실전 체크리스트
- 수출기업
- 7월 말 이전 선적·통관 ‘앞당기기’
- 환율 1,380원 이상에 단계적 선물환 매도
- 수입기업
- 가격전가 어려운 품목은 ‘FOB 조건’ 전환 검토
- 달러비용 급등 시 선물환·옵션 병용
- 개인 투자자
- 해외주식 비중 높다면 달러RP·MMF로 헤지
- 1,400원 돌파 시 분할 환전, 관세 협상 결과 확인 후 재조정
- 취업·이직 준비생
- 국내 제조 채용 감소 가능… 반대로 美 현지공장·글로벌 파견 수요는 확대
5 | 마무리: “交渉이냐, 交易戰이냐”
트럼프 행정부의 ‘25 % 통합 관세’는 법적·정책적 실행력이 높은 카드입니다.
- 단기: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관리하면서 협상국면을 지켜보는 것이 최우선.
- 중기: 관세가 부분·전면 발효될 경우, 환율·성장·고용에 연쇄 충격이 불가피하므로 헤지와 공급망 재배치를 병행해야 합니다.
- 장기: 미국 내 생산·투자 확대를 통한 관세 면제가 “뉴노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생산전략의 대전환이 요구됩니다.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하반기 테슬라 전망: 로보택시·에너지 사업이 불 지필까? (1) | 2025.07.08 |
---|---|
[7월 2주] 비트코인! 2025 하반기 투자 포인트는? (1) | 2025.07.08 |
이번 주 증시 캘린더 한눈에 보기 (1) | 2025.07.07 |
2025년 하반기, 고용시장 ‘완만한 플러스’ 예상 (0) | 2025.07.07 |
[7월 2주] 달러/원 1,370원 시대, 하반기엔 어디로? — 금리·수출·대선 리스크로 본 2025~26 환율 전망 (0) | 2025.07.0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