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버전관리
- 프로그래밍언어
- Yes
- 소프트웨어공학
- 머신러닝
- 네트워크
- 웹개발
- 디자인패턴
- 데이터분석
- 데이터과학
- 데이터베이스
- 딥러닝
- 데이터구조
- I'm Sorry
- 소프트웨어
- 보안
- 사이버보안
- 자료구조
- 파이썬
- 컴퓨터비전
- 자바스크립트
- 프로그래밍
- 인공지능
- 빅데이터
- 클라우드컴퓨팅
- 네트워크보안
- 컴퓨터과학
- springboot
- 알고리즘
- 컴퓨터공학
- Today
- Total
목록2025/08 (14)
스택큐힙리스트
게임 판타지 소설에 자주 나오는 ‘풀다이브 캡슐’—온몸의 감각을 그대로 느끼고, 현실 1시간이 게임 10시간처럼 흘러가는 그 세계. 과학적으로 가능성은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부분적으로는 가능, 완전체는 먼 미래다. 어떻게 작동할지, 어디가 한계인지 현실적으로 풀어볼게.1) “온몸 감각” 전송, 어떻게?풀다이브의 핵심은 쓰는 것(write) 과 읽는 것(read) 두 가지다.읽기(뇌→기계): 사용자의 의도·시선·근육명령 등을 뇌파/피질 전극/근전도로 읽어서 게임에 반영. 지금은 비침습(EEG, 카메라 트래킹)은 정확도가 낮고 지연이 큼, 침습(ECoG, 미세전극)은 정확도·대역폭은 좋지만 수술 리스크가 있다.쓰기(기계→뇌): 시각·청각·촉각·온도·통증·중력감(어지럼까지)을 감각피질/말초신경/전정계에 인..
“구글 검색 등록” 말고, 챗봇이 답변에 당신을 ‘인용’하도록 만드는 방법을 정리했어요. 핵심은 간단합니다. LLM이 읽고 요약·인용하기 쉬운 구조로, 신뢰 가능한 출처처럼 보이게 꾸미는 것.1) LLM이 소스를 고르는 방식부터 이해하자브라우징형 LLM(ChatGPT with browsing, Perplexity 등)은 신뢰성(도메인/저자), 최신성, 의도 적합성을 기준으로 링크를 고릅니다. 명확한 제목, 날짜, 요약, 실증 데이터가 있으면 선택 확률이 높아요.Google Gemini의 AI Overviews/AI Mode는 기존 SEO 신호+콘텐츠 품질을 결합해 답을 만들고, 근거 링크를 함께 노출합니다. 즉, 전통 SEO+구조화 데이터+명료한 답변 형식이 여전히 중요합니다.마케터들이 말하는 GEO/A..
“되돌리기(Undo)”나 “기록/재실행(Redo·Macro)”가 필요할 때, 팀이 가장 많이 헷갈리는 두 패턴이 커맨드(Command)와 메멘토(Memento)죠. 결론부터 말할게요.작업 자체를 기록·재생하고 싶다면 → 커맨드객체 상태를 ‘그 순간’으로 즉시 되돌리고 싶다면 → 메멘토두 패턴은 겹치는 영역이 있지만 목표가 다릅니다. 커맨드는 “행위(요청)”를 객체로 만들고 큐잉·지연·원격 실행·로그·매크로까지 다룹니다. 메멘토는 “상태 스냅샷”을 캡슐화해 내부 구현을 노출하지 않고 저장·복원합니다.언제 커맨드가 맞나?이럴 때 커맨드가 덜 아픕니다.행위 중심으로 생각해야 할 때: “이 버튼이 누르면 어떤 작업을 수행한다”를 깔끔히 객체화.큐·지연·원격 실행이 필요할 때(잡 큐, 워커, 재시도).Audit/..
로스바드는 “물가를 밀어 올리는 진짜 힘은 화폐 공급”이라며, 금 본위·지폐·디지털 시대를 가로질러 돈이 늘어나는 메커니즘(채굴·디베이스·정책 발행)과 그 재분배 효과(먼저 쓰는 사람이 이익)를 해부합니다. 핵심 포인트만 쏙쏙화폐공급의 정의부터 리셋로스바드는 화폐공급을 “경제 안에 존재하는 화폐 단위의 총량”으로 본다고 시작합니다. 금본위라면 ‘달러=금 x온스’가 1:1로 붙어 돌아가죠. 기준이 금속이든 종이든, “M은 그냥 총 화폐 단위다”는 관점입니다.“얼마가 최적인가?”—정답: 어떤 양이든 된다돈은 신발처럼 “많을수록 좋다”가 아니에요. 교환 매개라는 기능만 한다면 어떤 수준의 M이든 기능적으로 최적이라는 게 그의 결론. 문제는 ‘양’보다 늘리는 방식과 타이밍입니다.천사 실험(Angel Gabr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