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데이터베이스
- 빅데이터
- 네트워크
- 네트워크보안
- 데이터구조
- 딥러닝
- 자료구조
- 소프트웨어공학
- 데이터과학
- 컴퓨터비전
- 웹개발
- 디자인패턴
- 머신러닝
- 소프트웨어
- 프로그래밍언어
- 클라우드컴퓨팅
- 파이썬
- 컴퓨터과학
- 사이버보안
- 프로그래밍
- 알고리즘
- 보안
- 자바스크립트
- Yes
- I'm Sorry
- 컴퓨터공학
- 버전관리
- 데이터분석
- 인공지능
- springboot
Archives
- Today
- Total
스택큐힙리스트
모놀리스→멀티모듈→마이크로서비스 전환 로드맵 본문
반응형
왜 ‘3-스텝 전환’이 필요할까?
대다수 스프링 서비스는 처음엔 빠른 개발을 위해 모놀리스로 시작합니다. 하지만 트래픽이 늘고 팀이 커지면 배포 지연·빌드 시간 폭증·의존성 지옥에 갇히죠. 이때 “멀티모듈 → 마이크로서비스” 두 단계를 밟으면 리스크 없이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Ⅰ. 모놀리스 점검 & 모듈 경계 그리기
- 도메인·레이어 매듭짓기
- DDD - 핵심 / 지원 / 인터페이스 레이어로 코드를 재배치
- 순환 참조 탐지 스크립트로 늦은 빚 차단
- 코드 헬스 체크리스트
- 빌드 시간 ≥ 5 분? → 분리 효과가 큼
- PR 당 충돌 파일 수가 30+? → 멀티모듈 시급
Tip : 이 단계에서 곧바로 마이크로서비스로 뛰어들면 데이터 분리·연쇄 배포 때문에 실패 확률이 급등합니다.
Ⅱ. 멀티모듈로 안전하게 쪼개기
- Gradle 멀티모듈화
- settings.gradle.kts 에 include("member","order","payment")
- 루트 subprojects { … } 로 공통 플러그인 통합
- 공통 코드 추출 → common-util, shared-kernel
- 테스트 격리 강화
- java-test-fixtures, Testcontainers, WireMock
- 모듈별 CI
- GitHub Actions matrix (job = module)로 병렬 빌드
- 배포 단위
- 우선은 단일 WAR/JAR로 묶어 배포 → 운영 안정성 유지
멀티모듈 단계에서 개발-빌드 속도를 끌어올리고, 경계가 흐릿한 코드에 가드레일을 설치합니다.
Ⅲ. 마이크로서비스로 단계적 추출
- 서비스 추출 원칙
- 변화 빈도 & 독립 스케일링이 높은 도메인부터 (예: 결제, 추천)
- 데이터 독립성 확보 → 전용 스키마 or DB
- 인프라 구축
- API Gateway (Spring Cloud Gateway)
- 서비스 디스커버리 (Eureka / Consul)
- 공통 설정 (Spring Cloud Config)
- 통신 방식
- Sync → REST + OpenFeign
- Async → Kafka / RabbitMQ 이벤트 발행
- 배포 전략
- Docker → ECR, Helm → EKS/Kubernetes
- Canary, Blue-Green로 무중단 배포
- 운영 가시성
- Distributed Tracing (Zipkin / OpenTelemetry)
- Grafana + Prometheus 지표 대시보드
- 조직 & 문화
- 모듈 = 코드 경계, 마이크로서비스 = 팀 경계
- “You Build It, You Run It” – 팀이 서비스 전체 라이프사이클 담당
전환 타임라인 (실전 평균)
- 0-3 개월 – 도메인 리팩터링 & 멀티모듈 완성
- 4-6 개월 – 첫 핵심 서비스 분리, 공통 인프라 구축
- 6-12 개월 – 점진적 추출 + 레거시 축소, 운영 최적화
흔한 함정 3가지
- 데이터베이스 공유 유지 → 서비스 간 강결합 지속
- 하나의 CI/CD 파이프라인에 모든 서비스 묶기 → 배포 지연 재현
- 관찰 가능성 부족 → 장애 원인 추적 난이도 폭증
성공 지표
- 배포 빈도 : 주 1회 → 하루 수십 회
- 평균 빌드 시간 : 20 분 → 5 분 이하
- 장애 전파 반경 : 전체 다운 → 단일 서비스 격리
반응형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GIL, 정말 문제일까? ― 병목 원인과 미래 로드맵 (0) | 2025.07.13 |
---|---|
카오스 엔지니어링으로 ‘예방형’ 포스트모템 쓰기: 장애 터지기 전에 복기하라! (0) | 2025.07.13 |
멀티모듈 핵심 개념 이해하기 (0) | 2025.07.12 |
멀티모듈 테스트 격리 & Fixture 전략 (0) | 2025.07.12 |
자바 스프링 개발 시작하기 - 6일차 빌드 & 의존성 마스터하기 (1) | 2025.07.1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