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디자인패턴
- 파이썬
- 프로그래밍
- 알고리즘
- 머신러닝
- 웹개발
- 사이버보안
- springboot
- 데이터베이스
- 프로그래밍언어
- 자료구조
- Yes
- 소프트웨어공학
- 버전관리
- 보안
- 인공지능
- 네트워크보안
- 컴퓨터비전
- 빅데이터
- 데이터과학
- I'm Sorry
- 자바스크립트
- 데이터구조
- 딥러닝
- 클라우드컴퓨팅
- 컴퓨터공학
- 컴퓨터과학
- 소프트웨어
- 네트워크
- 데이터분석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cbdc논쟁 (1)
스택큐힙리스트
부분지급준비의 덫을 파헤치다―《미스터리 오브 뱅킹》 서문
2008 년 새로 실린 서문과 추천사는 로스바드의 대표작 The Mystery of Banking(1983)을 ‘금융 위기의 예언서’로 다시 소환합니다. 서문에서 전직 은행가 더글러스 E. 프렌치는 부분지급준비(프랙셔널 리저브) 체제와 중앙은행 구제금융이 낳은 2008년 금융 붕괴를 신랄하게 고발하고, 추천사에서 조지프 T. 살레르노는 연준(Fed)을 ‘독점적 위조 집단’으로 규정하며 책의 출간사가 왜 실패했는지까지 추적합니다. 로스바드가 제시한 “금본위·100 % 지급준비” 해법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하며, 주류 경제학 교과서가 외면한 ‘누구에게 이익이 돌아가는가(Cui bono?)’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왜 다시 읽어야 할까?프렌치는 1990~2008년 M2(광의통화) 규모가 두 배 넘게 뛰어오르는..
재테크
2025. 7. 21. 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