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데이터베이스
- I'm Sorry
- 컴퓨터과학
- 사이버보안
- 딥러닝
- 디자인패턴
- springboot
- 소프트웨어
- 프로그래밍언어
- 데이터구조
- 인공지능
- 컴퓨터공학
- 프로그래밍
- 데이터과학
- 버전관리
- Yes
- 웹개발
- 알고리즘
- 보안
- 자료구조
- 네트워크보안
- 네트워크
- 자바스크립트
- 클라우드컴퓨팅
- 컴퓨터비전
- 데이터분석
- 파이썬
- 소프트웨어공학
- 머신러닝
- 빅데이터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State패턴 (1)
스택큐힙리스트
State 패턴: if-else 없이 굴러가는 ‘상태 머신’의 힘
왜 필요한가?업무 로직이 복잡해질수록 if (status == CREATED) … else if (status == SHIPPED)… 같은 분기문이 폭발한다. 새 상태가 추가될 때마다 코드가 누더기가 되는 건 시간문제다. State 패턴은 객체의 상태를 클래스로 쪼개고, 상태별 동작(행위)을 그 클래스 안에 숨겨 버린다. 그러면 Context(주 객체)는 “지금 내가 어떤 상태인가?”만 알고 있으면 된다. 조건문 대신 상태 객체 교체만으로 행동이 바뀌니,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크게 올라간다.핵심 개념 한 줄 요약“상태를 클래스로 캡슐화해, 객체의 행동을 런타임에 교체한다.”Context ↔ State 인터페이스 ↔ ConcreteState 들이 만드는 삼각 구도가 전부다.Kotlin 예제 — 주문 상태 ..
개발
2025. 7. 23. 0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