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네트워크보안
- 프로그래밍언어
- 데이터베이스
- 빅데이터
- 컴퓨터과학
- 버전관리
- springboot
- 컴퓨터비전
- I'm Sorry
- 파이썬
- 네트워크
- 자바스크립트
- 자료구조
- 딥러닝
- Yes
- 데이터과학
- 인공지능
- 소프트웨어공학
- 웹개발
- 데이터분석
- 알고리즘
- 컴퓨터공학
- 클라우드컴퓨팅
- 머신러닝
- 디자인패턴
- 데이터구조
- 보안
- 사이버보안
- 소프트웨어
- 프로그래밍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LazyIterator (1)
스택큐힙리스트
Kotlin Sequence 내부 구현으로 배우는 Lazy Iterator 원리
1. Sequence가 List·Set과 다른 진짜 이유Sequence는 데이터를 담지 않고 “필요할 때 만들어” 내보냅니다. filter → map → take 같은 여러 단계도 요소당 한 번씩 흐르기 때문에 중간 컬렉션이 전혀 생기지 않죠. Kotlin 공식 문서가 강조하듯, 이는 eager 컬렉션과 구조적으로 다릅니다.한마디로: 이터레이터를 감춘 파이프라인.2. 파이프라인 안쪽: TransformingSequence · FilteringSequence모든 중간 연산(map / filter 등)은 새 Sequence 구현체를 리턴합니다.map()을 호출하면 TransformingSequence가 생성되어 원본 sequence와 lambda를 보관만 합니다.실제 변환은 내부 Iterator의 next(..
개발
2025. 7. 29. 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