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인공지능
- 소프트웨어공학
- 자료구조
- 데이터구조
- 빅데이터
- 보안
- 데이터베이스
- 사이버보안
- 데이터분석
- 머신러닝
- 네트워크보안
- 컴퓨터공학
- 클라우드컴퓨팅
- 알고리즘
- 웹개발
- 파이썬
- 프로그래밍
- 딥러닝
- 컴퓨터과학
- 네트워크
- Yes
- 프로그래밍언어
- 데이터과학
- 자바스크립트
- springboot
- 컴퓨터비전
- 소프트웨어
- 디자인패턴
- I'm Sorry
- 버전관리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CBDC위험 (1)
스택큐힙리스트
지갑 속 ‘종이’와 물가의 밀당 – 《미스터리 오브 뱅킹》 3장
한눈에 보는 3장로스바드는 “물건값이 전반적으로 오르내리는 이유는 단 두 가지, 화폐 공급(M) 과 화폐 수요(D) 뿐”이라고 못 박는다. 화폐가 많이 풀리면 같은 빵이라도 가격표가 올라가고, 사람들이 지갑을 꼭 쥐고 쓰길 꺼리면(화폐 수요 ↑) 물가는 내려간다. 이 단순하지만 강력한 법칙이 1970년대의 ‘그레이트 인플레이션’부터 2020년대 팬데믹 유동성 파티까지 줄곧 반복돼 왔음을 3장은 실증·그래프로 보여 준다3장의 핵심 메시지1) 가격 수준은 결국 ‘돈’으로 설명된다금·은 본위 시절엔 화폐량이 광산 채굴 속도에 발이 묶여 물가가 안정적이었다.종이·디지털 화폐 시대엔 정부·중앙은행이 버튼 한 번으로 늘릴 수 있어 가격이 급격히 흔들린다.2) 화폐 공급 증가 → 물가 상승3장은 돈이 30 % 늘어나..
재테크
2025. 7. 28. 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