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택큐힙리스트

데이터 테이블의 잘못된 set 사용으로 인해 음수의 행 수 본문

카테고리 없음

데이터 테이블의 잘못된 set 사용으로 인해 음수의 행 수

스택큐힙리스트 2023. 11. 2. 18:17
반응형

라이브러리(data.table)
dt<-data.table(id=1:5, var=rnorm(5)) # 일반 예제
set(dt, 6L, 1L, 3L) # 기대한 대로 아무것도 설정되지 않음.
dt
#
# 이제 진짜 데이터, 코드에서 오류를 발견한 후 (잘못된 행 번호로 설정)
#
dt1 <- data.table(ID = 29502509, FY = 2012, VAR = 61067.5442975645,
startDate = structure(15062L, class = c(IDate, Date)),
endDate = structure(15429L, class = c(IDate, Date)),
start = 1750, end = 2404,
date = structure(15461L,class = c(IDate, Date)),
DESCR = JOB, NOTE = NEW)
set(dt1, 12L, 3L, 62385.6516144086)
str(dt1)
Classes ‘data.table’ and 'data.frame': 1 obs. of 10 variables:
$ ID : chr 29502509
$ FY : num 2012
$ VAR : num 61068
$ startDate: IDate, format: 2011-03-29
$ endDate :
Error in do.call(str, c(list(object = obj), aList, list(...)), quote = TRUE) :
음의 길이 벡터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sapply(dt1, length)
ID FY VAR startDate endDate start end date
1 1 1 1 -637110831 1 1 1
DESCR NOTE
1 1
> dput(dt1)
structure(list(ID = 29502509, FY = 2012, VAR = 61067.5442975645,
startDate = structure(15062L, class = c(IDate, Date)),
endDate = structure(, class = c(IDate, Date)), start = 1750, # 여기서
end = 2404, date = structure(15461L, class = c(IDate,
Date)), DESCR = JOB, NOTE = NEW), .Names = c(ID,
FY, VAR, startDate, endDate, start, end, date,
DESCR, NOTE), row.names = c(NA, -1L), class = c(data.table,
data.frame), .internal.selfref = <pointer: 0x0000000000130788>)

위에서 언급한 대로, 코드를 전체적으로 여러 번 실행해야만 데이터 테이블 dt1 <- data.table(...을 생성하고 set(dt1,...까지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처음 실행하지 않으면 절대로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다만, dt1 <- data.table(...을 다시 실행하지 않을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으신가요?


편집: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다른 결과라는 말은 때때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예상대로), 대부분의 경우에는 항상 날짜라는 음수 길이 열이 생성되고 때로는 음수 행을 가진 data.table 전체가 생성되는 경우입니다. 또한, 마지막 두 경우 (단일 열 또는 전체 data.table)에서 음수 길이는 항상 -637110831입니다.

답변 1

컬럼에 할당된 메모리를 넘어서 쓰기 때문에 메모리 손상이 발생한 것 같습니다.


이는 assign.c에서 assign 호출을 호출합니다. 버전 1.8.8부터 assign.c:434에서 발생합니다:


434             default :
435 for (r=0; r<targetlen; r++)
436 memcpy((char *)DATAPTR(targetcol) + (INTEGER(rows)[r]-1)*size,
437 (char *)DATAPTR(RHS) + (r%vlen) * size,
438 size);

이 코드가 도달됩니다(이 경우가 아니어야 합니다). 이 시점에서:


(gdb) p INTEGER(rows)[0]
$21 = 12
(gdb) p size
$23 = 8

답변 2

부정적인 데이터 테이블의 행 수는 set의 잘못된 사용으로 발생한 현상입니다.
데이터 테이블은 R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강력한 데이터 구조입니다. 그러나 가끔씩 우리는 set 함수를 잘못 사용하여 예기치 않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부정적인 행 수가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set 함수는 데이터 테이블의 특정 위치에 값을 할당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테이블의 일부 행을 선택하지 않고, 혹은 잘못된 인덱스를 사용할 경우 set 함수는 예상치 못한 동작을 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우연히 음수 값을 할당하여 행 수를 음수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 이유는 set 함수가 테이블 객체를 직접 수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수로 set을 사용하면 데이터 테이블의 무결성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우리는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몇 가지 예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명확한 인덱싱을 사용해야 합니다. set 함수를 사용하여 값을 할당하기 전에 행의 범위를 정확하게 지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테이블[1:5, '열'] <- 값과 같이 기존 테이블의 행 범위와 열 이름을 명시적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두 번째로 조건부 할당을 사용해야 합니다. set 함수를 사용하기 전에 특정 조건에 맞는 행만 선택하여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행의 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잘못된 할당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 디버깅 도구를 활용해야 합니다. R에는 데이터 구조와 관련된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디버깅 도구가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코드를 디버깅하고,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행 수가 음수로 변하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set 함수의 올바른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 테이블은 우리에게 많은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실수로 인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올바른 인덱싱과 조건부 할당 사용, 그리고 디버깅 도구 활용은 데이터 테이블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요약하자면, set 함수를 잘못 사용하여 데이터 테이블의 행 수가 음수로 변하는 현상은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올바른 인덱싱과 조건부 할당을 사용하고, 디버깅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하면 데이터 테이블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예기치 않은 결과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