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버전관리
- Yes
- 보안
- 빅데이터
- 소프트웨어공학
- 딥러닝
- 데이터분석
- 디자인패턴
- 머신러닝
- 데이터과학
- 클라우드컴퓨팅
- 네트워크
- 인공지능
- 프로그래밍언어
- 자바스크립트
- 네트워크보안
- 컴퓨터공학
- 데이터베이스
- 프로그래밍
- 알고리즘
- I'm Sorry
- 소프트웨어
- 파이썬
- 사이버보안
- 웹개발
- 컴퓨터과학
- springboot
- 데이터구조
- 자료구조
- 컴퓨터비전
Archives
- Today
- Total
스택큐힙리스트
프론트엔드와 API 통합 테스트 전략 본문
반응형
Mock이냐, E2E냐? 당신의 테스트 전략을 점검하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잘 통신하고 있는지 테스트하는 건 아주 중요합니다.
그런데 테스트 방식에는 다양한 전략이 존재하죠.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Mock 기반 테스트와 E2E(End-to-End) 테스트입니다.
✅ Mock 테스트: 빠르고 단위별로 확인 가능
Mock은 실제 서버를 사용하지 않고, 가짜 데이터를 반환하는 서버나 객체를 통해 테스트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 빠른 속도: 실제 서버 요청 없이 테스트 가능
- 안정성: 백엔드 변경에 영향받지 않음
- 다양한 예외 상황 쉽게 시뮬레이션 가능 (ex. 500 에러, 응답 지연)
단점
- 실제 API와의 연동은 보장되지 않음
- 프론트와 백엔드의 계약이 어긋나도 모를 수 있음
- 실제 운영 환경과 다른 환경에서 테스트됨
✅ E2E 테스트: 사용자 입장에서 진짜처럼 테스트
E2E는 실제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UI에서 결과를 확인하는 통합 테스트입니다.
Cypress, Playwright, Selenium 같은 도구가 대표적입니다.
장점
- 진짜 운영 환경과 가장 유사
- 프론트와 백엔드 연동을 실제처럼 확인
- 사용자의 행동 흐름 전체를 검증 가능
단점
- 느림 (브라우저 띄우고 실제 통신하므로)
- 불안정한 경우가 많아 flaky test로 이어질 수 있음
- 테스트 환경 설정이 복잡하고 유지보수가 어렵다
☝️ 어떤 전략을 선택할까?
상황 | 추천 테스트 방식 |
API 개발 전, 프론트 먼저 개발 중 | ✅ Mock 테스트 |
주요 사용자 시나리오 점검 | ✅ E2E 테스트 |
빠르게 UI 변화 확인 | ✅ Mock 테스트 |
배포 전 최종 통합 확인 | ✅ E2E 테스트 |
결론은 두 가지 테스트를 병행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 개발 초기: Mock API로 빠르게 UI 개발
- 통합 단계: E2E 테스트로 실제 API와의 흐름 확인
- CI/CD: 핵심 시나리오만 최소한의 E2E 테스트 자동화
🛠 실전 예시
Mock 서버 구축 예시
npx json-server --watch mock-data.json --port 3001
E2E 테스트 예시 (Cypress)
describe('할 일 등록 테스트', () => {
it('할 일을 입력하고 등록하면 목록에 보여야 한다', () => {
cy.visit('/todos');
cy.get('input[name="todo"]').type('블로그 포스팅');
cy.contains('등록').click();
cy.contains('블로그 포스팅').should('exist');
});
});
🧠 마무리하며
모든 테스트는 비용과 시간이 듭니다.
따라서 ‘완벽한 테스트’보다는, 제품과 팀 상황에 맞는 현실적인 테스트 전략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Mock과 E2E는 대립하는 개념이 아니라, 서로를 보완하는 도구입니다.
반응형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ctory Method vs Template Method ― “누가 만들고, 누가 조립하나?” (3) | 2025.07.24 |
---|---|
명령을 객체로! 커맨드 패턴으로 유연한 실행 로직 만들기 🚀 (1) | 2025.07.23 |
자바 스프링 개발 시작하기 - 15일차 실전 프로젝트 완주 (0) | 2025.07.23 |
Template Method 패턴: “뼈대는 내가 잡을게, 살은 네가 붙여” (0) | 2025.07.23 |
State 패턴: if-else 없이 굴러가는 ‘상태 머신’의 힘 (1) | 2025.07.23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