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소프트웨어공학
- 데이터분석
- 파이썬
- 컴퓨터과학
- 클라우드컴퓨팅
- 인공지능
- 컴퓨터비전
- Yes
- 버전관리
- 네트워크
- 네트워크보안
- 머신러닝
- 컴퓨터공학
- 알고리즘
- 사이버보안
- 프로그래밍언어
- 디자인패턴
- 빅데이터
- 프로그래밍
- 데이터구조
- I'm Sorry
- 웹개발
- 데이터과학
- 보안
- 자료구조
- springboot
- 자바스크립트
- 데이터베이스
- 딥러닝
- 소프트웨어
Archives
- Today
- Total
스택큐힙리스트
AWS CodePipeline & CodeDeploy vs GitHub Actions 비교 분석 본문
반응형
1. 왜 둘을 비교해야 하나?
스프링 서비스를 AWS 에 올리려면 “코드를 커밋한 순간부터 프로덕션까지” 흐름이 안정적이어야 합니다.
- GitHub Actions → GitHub 저장소와 곧바로 연동, 다양한 워크플로 Marketplace, 멀티 클라우드 지향.
- AWS CodePipeline + CodeDeploy → AWS 권한 경계를 벗어나지 않고 IAM 역할·CloudWatch·Auto Rollback 같은 네이티브 기능이 즉시 사용 가능.
둘 중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비용·보안·러닝커브·배포 전략이 달라집니다.
2. GitHub Actions 한눈에
- 구성: .github/workflows/*.yml 파일에 파이프라인 정의, Event 기반 트리거, 병렬 Job.
- Runner: GitHub-호스티드(자동) 또는 Self-hosted(직접 관리) 선택.
- 장점: YAML 파이프라인 as code, Marketplace 액션 3만 개 이상, PR 리뷰 → 테스트 → 배포까지 UI 일원화.
- 제약: AWS 자격증명은 Secrets 또는 OIDC 연동이 필수, 분당 요금(리눅스 약 $0.008) 이벤트 폭증 시 비용 가파름.
3. AWS CodePipeline & CodeDeploy 한눈에
- CodePipeline: 시각적 스테이지(소스–빌드–테스트–배포) 오케스트레이션.
- CodeDeploy: EC2 / ECS / Lambda / 온프레미스에 블루-그린·카나리·롤링 배포, 자동 롤백.
- 장점: IAM 역할로 키 노출 없음, CloudWatch 지표·알람·새 콘솔(2025-02)로 트러블슈팅 편의, EC2 배포는 추가 비용 없음.
- 제약: 구성 리소스가 여러 곳(콘솔·CLI·CloudFormation)에 분산돼 학습 曲線이 큼, 멀티 클라우드 지원은 간접적.
4. 핵심 비교 포인트 6가지
- 에코시스템
- GitHub Actions → GitHub 중심, Azure 백엔드, 클라우드 구분 없음.
- CodePipeline/Deploy → AWS 전용, VPC·IAM 통합, 엔터프라이즈 보안 규정 친화적.
- 비용 모델
- GitHub Actions: 무료 분 소진 후 분당 과금, 러너 종류별 요율.
- CodePipeline: 파이프라인 당 월 $1, 첫 30일 무료.
- CodeDeploy: EC2 · Lambda 배포 무료, 온프레미스는 인스턴스 업데이트 당 $0.02.
- 보안 경계
- GitHub Actions: Secret / OIDC 로 AWS 역할 가져오기, 외부 SAAS 의존.
- CodePipeline/Deploy: 동일 AWS 계정 내 권한, IAM 정책으로 일관 관리.
- 러닝커브 & UX
- GitHub Actions: YAML만 알면 즉시 시작, PR–CI–CD 경험 일체화.
- CodePipeline: 스테이지·액션·아티팩트 개념 습득 필수, 다중 서비스 셋업.
- 배포 전략 지원
- GitHub Actions: 스크립트 자유도 ↑, 그러나 무중단 배포는 직접 작성.
- CodeDeploy: 블루-그린·카나리·자동 롤백을 매니지드로 제공.
- 확장성·속도
- GitHub Runner 스핀업 10-30 초, 대량 동시 빌드는 동시성 제한.
- CodeBuild 연동 시 종류별 컴퓨트 옵션, 높은 Burst 에 유리.
5. 실전 시나리오 3가지
- 스타트업 (멀티클라우드·빠른 실험)
→ GitHub Actions + Docker Hub: YAML 한 파일로 끝, 변경 속도에 최적. - 엔터프라이즈 (올-AWS, 규정 중시)
→ CodePipeline + CodeDeploy + CloudFormation: IAM 통제, S3 아티팩트 보존, 감사로그 일원화. - 하이브리드 (온프레 → AWS 이관 중)
→ GitHub Actions 빌드 → S3 아티팩트 전송 → CodeDeploy 온프레 배포: 두 도구를 조합해 단계적 마이그레이션.
6. 결론
- GitHub Actions = “깃허브 생태계 안에서 가볍게 돌리는 CI/CD”, 다중 클라우드 &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유리.
- CodePipeline + CodeDeploy = “AWS 안에서 엔터프라이즈급 배포 거버넌스”, 보안·롤백·대규모 운영에 강점.
사이드 프로젝트라면 GitHub Actions 한 줄이면 충분, AWS-전략적 서비스라면 코드파이프라인이 장기적으로 관리 비용을 줄여줍니다.
반응형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by 키워드로 3-줄 프록시 완성하기 (1) | 2025.07.21 |
---|---|
Proxy 패턴: ‘대리’로 구현하는 로깅·보안·캐싱 마법 (0) | 2025.07.21 |
자바 스프링 개발 시작하기 - 14일차 배포 자동화 & 운영 (2) | 2025.07.21 |
Asciidoc & Spring REST Docs로 API 문서 자동화 (0) | 2025.07.20 |
JDD(주둥아리 주도 개발) (2) | 2025.07.2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