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springboot
- 클라우드컴퓨팅
- 머신러닝
- 컴퓨터비전
- 데이터구조
- 파이썬
- 버전관리
- 알고리즘
- 보안
- 데이터과학
- 자바스크립트
- 프로그래밍언어
- 소프트웨어
- I'm Sorry
- 네트워크
- 자료구조
- 데이터베이스
- 빅데이터
- 컴퓨터공학
- 디자인패턴
- 인공지능
- 컴퓨터과학
- 데이터분석
- Yes
- 네트워크보안
- 웹개발
- 딥러닝
- 사이버보안
- 소프트웨어공학
- 프로그래밍
Archives
- Today
- Total
스택큐힙리스트
TDD의 장점 본문
반응형
왜 TDD를 선택해야 할까?
-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디버깅 비용 절감
테스트부터 작성하므로 결함이 생기면 바로 위치를 짚어낼 수 있습니다. 버그 탐색 → 수정에 쓰이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개발 효율을 높입니다. - 명세 기반 설계로 코드 품질 상승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먼저 테스트로 명시하기 때문에 과잉 설계가 줄고, 함수와 클래스가 작고 명확한 책임을 갖게 됩니다. - 안전한 리팩터링 & 변화 수용
기능 추가나 구조 변경 시 테스트가 안전망이 되어 기존 동작을 깨뜨리지 않았는지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비즈니스 요구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합니다. - 동작하는 문서
테스트 코드는 곧 실행 가능한 문서입니다. 새 팀원이 합류해도 입출력 예시를 통해 비즈니스 로직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CI/CD 파이프라인 신뢰성 강화
Pull Request마다 테스트가 자동 실행되어 배포 전 품질을 보장합니다. JUnit 5, Mockito로 단위 · 통합 테스트를 작성하고, Testcontainers로 실제 DB 환경까지 검증하면 “내 로컬에선 되는데?”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개발자 행복도 UP
실패 시나리오를 먼저 써보면서 문제를 작게 분할하고, ‘Red → Green → Refactor’ 루프를 돌며 작은 성공 경험을 반복하므로 생산성과 몰입도가 높아집니다.
실전 적용 팁
- 테스트 네이밍 – 메서드_상황_기대결과 패턴으로 가독성 확보
- Fixture 재사용 – @TestConfiguration, Builder 패턴으로 중복 제거
- @Tag 활용 – @Tag("integration")으로 무거운 테스트를 선택 실행
- Testcontainers 속도 최적화 – Reuse 모드 활성화(testcontainers.reuse.enable=true)
- 커버리지 목표 – 단위 70 %·통합 20 %부터 시작해 점진적 확장
반응형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JDD(주둥아리 주도 개발) (2) | 2025.07.20 |
---|---|
DD 패밀리 완전 정복 (1) | 2025.07.20 |
자바 스프링 개발 시작하기 - 13일차 테스트 주도 개발 (1) | 2025.07.20 |
Spring 캐시 추상화 × Flyweight 패턴: 메모리 폭주 0% 만드는 공식 (2) | 2025.07.19 |
Flyweight 패턴: 객체 수백만 개도 ‘가벼운’ 메모리로 돌리는 비결 (0) | 2025.07.1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