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택큐힙리스트

자바 스프링 개발 시작하기 - 9일차 Controller·DTO·예외 처리로 끝내는 CRUD 본문

개발

자바 스프링 개발 시작하기 - 9일차 Controller·DTO·예외 처리로 끝내는 CRUD

스택큐힙리스트 2025. 7. 16. 07:43
반응형

1. 오늘 배울 것

  • Spring MVC 흐름: HTTP 요청 → DispatcherServlet →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 DTO(Data Transfer Object): 계층 간 데이터 이동을 위한 전용 객체
  • 글로벌 예외 처리: @RestControllerAdvice + @ExceptionHandler
  • CRUD 엔드포인트 구현 & Postman으로 테스트

2. REST Controller 핵심 잡기

@RestController는 반환 값을 JSON/XML 등으로 바로 직렬화해 주므로, View 템플릿 없이 API 서버를 만들 때 필수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api/v1/articles")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ArticleController {

  private final ArticleService articleService;

  @PostMapping
  public ResponseEntity<ArticleResponse> create(@Valid @RequestBody ArticleRequest dto) {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CREATED)
                           .body(articleService.create(dto));
  }

  @GetMapping("/{id}")
  public ArticleResponse find(@PathVariable Long id) {
      return articleService.find(id);
  }

  // PUT, DELETE 생략…
}

TIP

  • 도메인 모델을 직접 노출하지 말고, 요청·응답 DTO를 따로 두면 유지보수가 훨씬 쉽다.
  • @Valid로 검증하고 실패 시 예외를 핸들러로 넘기면 코드가 깔끔해진다.

3. DTO: 계층 분리를 위한 필수품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ArticleRequest {
  @NotBlank private String title;
  @Size(max = 10_000) private String content;
}
  • 장점
    1. 엔티티 변경이 API 계약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2. 입력값 검증을 DTO에 집중시켜 Controller를 간결하게 만든다.

4. 글로벌 예외 핸들러 만들기

@RestControllerAdvice
public class GlobalExceptionHandler {

  @ExceptionHandler(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class)
  public ResponseEntity<ErrorResponse> handleValidation(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e) {
      String msg = e.getBindingResult()
                    .getFieldError()
                    .getDefaultMessage();
      return ResponseEntity.badRequest().body(ErrorResponse.of(msg));
  }

  @ExceptionHandler(NotFoundException.class)
  public ResponseEntity<ErrorResponse> handleNotFound(NotFoundException e) {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NOT_FOUND)
                           .body(ErrorResponse.of(e.getMessage()));
  }
}
  • @RestControllerAdvice 하나면 모든 Controller의 예외를 한곳에서 처리할 수 있어, API 응답 형식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다.
  • 필요하면 @Order로 여러 Advice 간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5. Postman으로 CRUD 테스트 시나리오

  1. POST /api/v1/articles
    • Body → JSON { "title":"첫 글", "content":"내용" }
    • <span style="background:#d1ffd1">201 Created</span> + Location 헤더 확인
  2. GET /api/v1/articles/{id}
    • 존재하지 않을 때 404 응답 & 예외 메시지 확인
  3. PUT /api/v1/articles/{id}
    • DTO 규칙 위반 시 400 확인
  4. DELETE /api/v1/articles/{id}
    • 성공 시 204 No Content

꿀팁: Postman의 Collection Runner로 시나리오를 묶어 두면, 배포 전 회귀 테스트를 손쉽게 돌릴 수 있다.


6. 마무리

오늘은 Controller → DTO → 예외 핸들러 흐름을 잡고, Postman으로 CRUD를 검증해 봤다. 이 구조를 정형화해 두면 이후 기능 추가가 놀라울 만큼 빨라진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