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소프트웨어
- 컴퓨터과학
- 데이터과학
- 컴퓨터비전
- 컴퓨터공학
- I'm Sorry
- 프로그래밍
- 자료구조
- 데이터구조
- 데이터베이스
- 웹개발
- springboot
- 인공지능
- 사이버보안
- 보안
- 파이썬
- 자바스크립트
- 딥러닝
- 빅데이터
- 소프트웨어공학
- 클라우드컴퓨팅
- 머신러닝
- Yes
- 알고리즘
- 데이터분석
- 디자인패턴
- 네트워크
- 버전관리
- 네트워크보안
- 프로그래밍언어
Archives
- Today
- Total
스택큐힙리스트
실전 포스트모템, 이렇게 쓰면 끝! 본문
반응형
1️⃣ 포스트모템이란?
서비스 장애를 문서로 해부해 재발을 막는 보고서입니다. Google SRE는 “사용자 영향·근본 원인·재발 방지책을 남기는 학습 도구”라고 규정합니다. 핵심은 ‘누구 탓’이 아니라 시스템 개선에 초점을 맞추는 블레임리스(Blameless) 문화입니다.
2️⃣ 왜 반드시 써야 하나?
- 학습 비용 절감: 동일 장애 반복 시 손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남.
- 팀 신뢰도 확보: 투명한 공개는 이해관계자의 불안을 줄여 줌.
- SLO 준수: MTTD·MTTR 같은 신뢰성 지표를 지속적으로 낮추는 지름길.
3️⃣ 필수 구성 6단계
- 제목·버전 — incident-YYYYMMDD-서비스명.
- 요약(Summary) — 200자 내외로 영향과 해결 결과.
- 영향(Impact) — 다운타임, 손실 QPS·매출, 고객 피해.
- 타임라인 — 발생→탐지→조치→완전 복구 시각을 분 단위로.
- 근본 원인 분석(RCA) — 5-Whys·Fishbone 등으로 시스템적 원인 규명.
- 액션 아이템 — 담당자·마감일·우선순위를 포함한 후속 과제.
팁: 타임라인은 로그·메트릭·알람 기록 등 객관적 데이터만 사용하세요. 감정은 금물!
4️⃣ 작성 프로세스 D-Day 기준
- D+0 ~ 4시간: 장애 종료 후 즉시 워룸 녹취와 알람 로그 수집.
- D+1일: 초안 공유 → 관련 팀 실시간 코멘트.
- D+3일: 리뷰 회의로 RCA·액션 아이템 확정.
- D+7일: 사내 위키·슬랙 공개 & 추적 티켓(Jira 등) 생성.
- D+30일: 액션 완료율 점검, 미이행 과제 재스케줄.
5️⃣ 국내·외 사례로 배우기
-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2022-10-15): 초기 공지로 장애 사실·복구 현황을 수시간 단위로 업데이트하며 투명성을 확보했습니다
- Roblox 73시간 장애(2021-10-28): 세부 기술 원인과 향후 개선 계획까지 장문 보고서를 공개해 커뮤니티 신뢰를 회복했습니다
- Google SRE 템플릿: ‘Blameless’와 ‘Action Item 소유자 지정’을 규칙화해 전사 지식 자산으로 축적하고 있습니다
6️⃣ 실전 작성 꿀팁
- 사전 템플릿 준비: Google·GitHub 공개 템플릿을 사내 Notion/Confluence에 맞게 커스터마이즈.
- 음성·화면 녹화 자동 저장: 회의 내용을 회고 자료로 바로 활용.
- 검증용 체크리스트: “타임라인 누락 없음?” “액션 아이템에 마감일·책임자 명시?” 등.
- 알림 최소화 정책: 알람 노이즈를 줄여 MTTD 단축 → 포스트모템에 기록.
7️⃣ 결론
‘잘 쓴 포스트모템 한 장이 장애 예방 백 개보다 낫다.’
블레임리스 문화와 구조화된 템플릿만 갖추면 작은 스타트업도 빅테크급 학습 조직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다음 장애가 왔을 때 당황하지 않으려면, 오늘 바로 사내 포스트모템 프로세스를 셋업하세요!
반응형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실무 지식] 3장. 성능을 좌우하는 DB 설계와 쿼리 (1) | 2025.07.10 |
---|---|
@ControllerAdvice 전역 예외 처리 – REST API에서 메시지·HTTP Status 자동 매핑 (1) | 2025.07.10 |
자바 스프링 개발 시작하기 - 4일차 예외 처리와 CSV 통계 실습 (2) | 2025.07.10 |
백프레셔 한 방에 끝! 대기 큐 설계·구현 실습 가이드 (3) | 2025.07.10 |
MTTD·MTTR 완전정복: 장애 대응 속도를 2배 끌어올리는 법 (0) | 2025.07.0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