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프로그래밍언어
- 자료구조
- 보안
- 소프트웨어공학
- 컴퓨터공학
- 네트워크보안
- 네트워크
- 데이터분석
- 데이터과학
- Yes
- 빅데이터
- 사이버보안
- 알고리즘
- 컴퓨터과학
- 컴퓨터비전
- 인공지능
- 머신러닝
- 웹개발
- 데이터구조
- 버전관리
- 소프트웨어
- 파이썬
- 딥러닝
- 디자인패턴
- 프로그래밍
- 데이터베이스
- 자바스크립트
- 클라우드컴퓨팅
- I'm Sorry
- springboot
Archives
- Today
- Total
스택큐힙리스트
수평 확장 vs DB 확장, 어디에 투자할까? 본문
반응형
🚀 왜 이 논쟁이 뜨거운가?
트래픽이 폭증할 때 “서버를 더 세울까, 데이터베이스를 쪼갤까?”는 모든 서비스의 고민거리입니다. AWS·GCP 같은 클라우드에서 오토스케일링은 클릭 몇 번이면 가능하지만, 비용과 아키텍처 복잡도는 방향마다 극과 극으로 갈립니다. 오늘은 로드밸런서 기반 수평 확장과 데이터베이스 확장(스케일-업·아웃)을 실전 관점에서 비교해 보겠습니다.
1. 로드밸런서 기반 수평 확장 🌐
- 개념: 애플리케이션 서버(웹·API)를 여러 대로 늘리고 앞단에 ALB/NLB 같은 로드밸런서를 두어 트래픽을 분산합니다.
- 장점
- 즉각적 대응: EC2 오토스케일링 그룹, Kubernetes HPA 등으로 몇 분 만에 인스턴스를 추가.
- 무중단 배포: 블루-그린·카나리 배포가 쉬워 서비스 가용성 ↑.
- 계층 분리: 애플리케이션 로직만 늘리므로 데이터 계층 위험 최소화.
- 단점
- DB 병목: 앱 서버가 늘수록 단일 DB에 쓰기 병목이 집중.
- 세션 관리: 상태풀 설계가 미흡하면 로그인 세션이 흩어져 오류 발생.
- 비용 증가: 트래픽 폭에 따라 인스턴스 요금이 선형으로 증가.
- 실무 사례
쿠팡은 이벤트 기간에 API 서버를 10배까지 오토스케일하지만, 캐시 계층(ElastiCache)과 비동기 큐(Kafka)를 병행해 DB 요청을 최소화합니다.
2. 데이터베이스 확장 전략 🗄️
- 스케일-업(Vertical)
- 더 큰 인스턴스(RDS, Aurora, AlloyDB 등)로 교체.
- 장점: 마이그레이션 난이도 ↓, 애플리케이션 변경 없음.
- 단점: 인스턴스 크기는 유한, 가격 급격히 상승.
- 스케일-아웃(Horizontal)
- 읽기 복제(리플리케이션): 읽기 트래픽 분산.
- 샤딩(파티셔닝): 데이터 범위를 여러 노드로 나눔.
- NewSQL / 분산 DB: Amazon Aurora Limitless, YugabyteDB, TiDB 등으로 애플리케이션 투명하게 분산.
- 장점: 거의 무한 확장, 데이터 국지성 유지.
- 단점: 샤딩 키 설계, 트랜잭션·조인 복잡도, 운영 난이도 ↑.
3. 어떤 시나리오에서 어떤 전략이 빛날까? 🔦
- QPS가 짧은 시간에 폭주, 데이터 쓰기 비율이 낮다 → 로드밸런서 수평 확장 + 읽기 복제 캐시
- 쓰기 트래픽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데이터가 빠르게 불어난다 → DB 샤딩·분산 DB
- 트래픽 편차가 예측 불가하고 MTTD·MTTR을 최소화해야 한다 → 하이브리드(로드밸런서 오토스케일링 + Aurora Limitless 같은 분산 스토리지)
⚡ 실무 팁
- A/B 테스트 트래픽 분기는 로드밸런서 레이어에서 처리해야 DB 열을 낭비하지 않는다.
- 쓰기 집중 서비스는 초기에 샤딩 키(예: 사용자 ID % N)를 고정해두면 리샤딩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 다중 리전 DR을 고려한다면, 로드밸런서 Global Accelerator + 다중-마스터 DB 구조를 함께 설계하라.
4. 비용·운영·성능 한눈에 비교(글로만 간단히)
- 비용 효율: 초기엔 스케일-업 < 수평 확장, 장기적으론 샤딩이 최저.
- 운영 난이도: 수평 확장 < 스케일-업 < 샤딩.
- 성능 한계: 스케일-업 < 수평 확장 < 분산 DB.
5. 결론 ✍️
완벽한 만능 열쇠는 없습니다. 요구사항·패턴·예산을 기준으로 로드밸런서 수평 확장 → 리플리케이션 → 샤딩/분산 DB 순으로 단계적 진화를 설계하면 기술 부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초기 스타트업이라면 로드밸런서+캐시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일 매출이 억 단위로 치솟는 순간 DB 확장을 대비한 샤딩 가능한 스키마를 미리 설계해 두세요.
반응형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프레셔 한 방에 끝! 대기 큐 설계·구현 실습 가이드 (3) | 2025.07.10 |
---|---|
MTTD·MTTR 완전정복: 장애 대응 속도를 2배 끌어올리는 법 (0) | 2025.07.09 |
Redis 캐시 3대장: LRU·LFU·TTL, 언제 써야 진가를 발휘할까? (2) | 2025.07.09 |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실무 지식] 2장. 느려진 서비스, 어디부터 봐야 할까 (0) | 2025.07.09 |
[JAVA] 람다식과 메서드 레퍼런스 (1) | 2025.07.0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