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보안
- 데이터과학
- 프로그래밍
- 네트워크
- 웹개발
- 2
- 네트워크보안
- 소프트웨어공학
- 딥러닝
- 데이터구조
- 머신러닝
- 빅데이터
- I'm Sorry
- 알고리즘
- Yes
- 버전관리
- 프로그래밍언어
- 컴퓨터공학
- 인공지능
- 데이터베이스
- 자료구조
- 클라우드컴퓨팅
- 컴퓨터과학
- 자바스크립트
- 데이터분석
- 소프트웨어
- 컴퓨터비전
- 사이버보안
- 코딩
- 파이썬
Archives
- Today
- Total
스택큐힙리스트
kubectl apply vs kubectl create?kubectl apply와 kubectl create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본문
카테고리 없음
kubectl apply vs kubectl create?kubectl apply와 kubectl create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스택큐힙리스트 2023. 11. 3. 23:25반응형
문서를 통해 이해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kubectl create
클러스터에 새로운 k8s 리소스를 생성합니다.kubectl replace
라이브 클러스터의 리소스를 업데이트합니다.kubectl apply
만약 create + replace를 하고 싶다면 (참고)
제가 가진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왜 클러스터에서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데 세 가지 연산이 있는 것인가요?
- 이러한 연산들의 사용 사례는 무엇인가요?
- 내부에서는 어떻게 다른가요?
답변 1
이들은 두 가지 다른 접근 방식입니다:
명령형 관리
kubectl create
는 우리가 명령형 관리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이 접근 방식에서는 Kubernetes API에게 무엇을 생성, 대체 또는 삭제하고자 하는지 알려주는 것이며, K8s 클러스터의 상태는 어떻게 보일지에 대해서는 알려주지 않습니다.
선언적 관리
kubectl apply
는 선언적 관리 접근 방식의 일부입니다. 이 방식은 라이브 객체에 대해 적용한 변경 사항 (예 : scale
을 통한 변경)이 유지되는 것입니다. 다른 변경 사항을 객체에 apply
하더라도 변경 사항이 유지되는 것입니다.
더 많은 세부 정보는 쿠버네티스 객체 관리 문서에서 명령형 및 선언적 관리에 대해 자세히 읽을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두 가지 명령어는 다른 작업을 수행합니다. 자원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 kubectl create
는 오류를 발생시킬 것이고, kubectl apply
는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을 것입니다.
답변 2
kubectl apply vs kubectl create: 차이점과 사용법Kubernetes(K8s)는 현대적인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관리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K8s는 애플리케이션 확장성, 가용성, 안정성과 같은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며, 실제로 많은 IT 기업들이 K8s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K8s를 사용할 때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인 `kubectl create`와 `kubectl apply`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ubectl create`는 K8s 리소스를 생성할 때 주로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create` 명령어로 작성된 리소스는 클러스터에 한 번만 적용되며, 이미 존재하는 리소스를 덮어쓰지 않습니다. 이것은 생성 명령어가 일회성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kubectl create pod my-pod`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my-pod`라는 이름의 파드가 생성됩니다. 하지만, 만약 이미 `my-pod`라는 이름의 파드가 존재한다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create` 명령어를 사용할 때에는 만약 같은 이름의 리소스가 이미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편, `kubectl apply`는 리소스를 생성하는 것 외에도 이미 존재하는 리소스를 업데이트하거나 대체할 때 사용됩니다. `apply` 명령어는 리소스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고, 변경된 내용만을 업데이트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클러스터에 새로운 리소스를 추가하는 것 뿐만 아니라, 기존 리소스를 수정하는 작업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kubectl apply` 명령어는 클러스터에 작성된 리소스를 반영하기 때문에, 중요한 설정 정보를 보존하면서도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kubectl create`와 `kubectl apply`는 생성 및 업데이트 목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명령어입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어떤 명령어를 선택해야하는지에 대해서 몇 가지 유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한 번만 적용되기를 원하는 리소스를 생성할 때 `create`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배포용 리소스를 작성하거나, 구성 설정 파일을 적용할 때 `creat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이미 존재하는 리소스를 업데이트하거나 대체해야할 때 `apply`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 경우, 변경된 사항만을 업데이트하므로 중요한 설정 정보가 유지되면서도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kubectl create`와 `kubectl apply`는 K8s 리소스를 생성하고 업데이트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create`는 일회성으로 동작하며 이미 존재하는 리소스를 덮어쓰지 않으며, `apply`는 현재 상태를 분석하여 변경된 내용만을 업데이트합니다. 그러므로 적절한 명령어를 선택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합니다. 이를 통해 K8s를 용이하게 관리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과 가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